aaa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134)
      • 유투브 쇼츠 (1)
      • 세계사 (22)
      • 한국사 (55)
      • 알면 좋은 것 (10)
      • IT (1)
      • 복지 (33)
  • 홈
  • 태그
  • 방명록
한국사

문종(1414 ~ 1452)

본명 이향 조선의 제5대 왕(재위 1450∼1452) 세종의 맏아들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 비는 권전의 맏딸 현덕왕후 김오문의 딸과 첫 번째 혼인을 하였으나 자질 부족으로 김씨가 폐출되었으며, 봉여의 딸과 두 번째 혼인을 하였으나 봉씨가 동성애에 빠져 폐출되었다. 현덕왕후는 후궁으로 들어왔다가 세자빈으로 승격되었다. 문종은 학문을 좋아하고 인품이 관후하였으며, 1421년(세종 3) 세자로 책봉되었다. 약 3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문무관리를 고르게 등용하도록 하고, 언로를 자유롭게 열어 민정파악에 힘쓰는 등 세종을 보필한 공이 컸다. 1445년 세종이 병들자 그를 대신하여 국사를 처리하였으며, 1450년 왕에 올랐다. 유학 및 천문 ·역법 ·산술 등에도 조예가 깊었다.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2022. 12. 15. 01:36
한국사

세종대왕(1397년 ~ 1450년),(재위:1418~1450)

본명 : 이도 아버지 : 태종 어머니 : 원경왕후 민씨 조선조 4대임금 1418년 6월에 왕세자에 책봉 1418년 8월에 즉위 태종에게는 왕후 민씨 소생으로 양녕·효령(孝寧)·충녕 등 세 대군중 태종의 뒤를 이을 왕세자는 양녕대군이었으나 양녕대군이 개와 매에 관계된 사건을 비롯해, 세자로서의 품위를 손상시킨 시킨다. 그래서 태종은 자신이 애써 이룩한 정치적 안정과 왕권을 이어받아 훌륭한 정치를 펴기에 양녕대군이 적합하지 못하다고 판단하고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기에 이른다. 이 사람이 세종이다. 세종대는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유교정치, 찬란한 문화가 이룩된 시대였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으로 안정되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전반적인 기틀을 잡은 시기였다. 집현전을 통해 많은 인재가 양성되었고,..

2022. 12. 14. 22:15
한국사

소현 세자(1612년 ~ 1645년)

병자호란 이후 조선의 세자가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간다. 장남 소현세자와 둘째 봉림대군은 청나라의 수도인 만주의 심양에서 생활을 시작하는데, 소현세자와 봉립대군의 현실 인식은 완전 정반대가 된다. 원래 조선인의 생각 속에 여진족은 짐승과도 같은 오랑캐였다. 그런데 소현세자가 경험한 청은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강한 군사력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향후 명나라를 몰아내고 중원을 지배할 새로운 주인이었다. 그러니 조선의 외교 전략이 더는 반청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봉림대군은 정반대였다. 아버지 인조와 같이 청을 철천지원수로 생각하고 반청과 북벌을 마음속에 키웠다. 소현세자는 조선 시대 왕족 중에서 가장 아까운 인물 중에 한 명이다. 군주로서의 자질도 뛰어났고 외교적인 센스도 충만했다.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

2022. 12. 8. 22:52
세계사

춘추전국시대

외적이 쳐들어와 나라의 도읍을 동쪽으로 옮긴 주나라(BC 1046∼BC 771)는 그때부터 힘이 매우 약해졌다. 그러자 주나라의 제후국들이 천천히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제후국:제후가 다스리는 나라) 그 후, 여러 제후국들은 저마다 다른 나라로 쳐들어가 땅을 늘려 나갔다. 그리고 주나라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신들만의 전통과 관습을 만들어 갔다. 중국은 북쪽으로는 랴오허(요하) 강, 남쪽으로는 양쯔 강까지 힘을 뻗치면서 맨 처음 문명을 꽃피웠던 때보다 땅이 훨씬 넓어졌다. 그러면서 중국은 비로소 고대 국가의 튼튼한 바탕을 마련해 나가기 시작했다. 바로 이 무렵부터, 훗날 진(晉)나라가 세 개의 나라로 갈라진 기원전 403년까지의 시기를 ‘춘추 시대’라고 부른다. 춘추 시대에(BC 770~BC403) 이르..

2022. 12. 8. 22:11
한국사

공병우(1907 ~ 1995)

공병우는 1907년 1월 24일 평안북도 벽동군에서 태어났다. 1926년 평양 의학 강습소를 수료하고, 조선 의사 검정 시험에 합격했다. 이후 1936년 일본 나고야 제국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고, 1938년 9월에 서울 종로구 서린동에 공안과를 열었다. 1940년대에 처음으로 한글 시력검사표를 만들었으며, 1958년에는 최초로 콘택트렌즈 시술을 도입하고 국산화를 이루었다. 그는 또한 한글 기계화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1948년 받침이 있는 한글에 적합한 ‘쌍초점’ 방식의 타자기를 고안했고, 1949년 최초로 자판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한 세벌식 쌍초점 방식의 한글 타자기를 개발했다. 1971년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계식 한글 점자 타자기와 함께 중국 시각장애인을 위해 주음부호 타자기도 개발했으며,..

2022. 12. 6. 23:19
세계사

마하트마 간디(1869. 10. 2. ~1948. 1. 30.)

인도의 민족운동 지도자이자 인도 건국의 아버지. 남아프리카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투쟁으로 유명해졌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에 대해 반영·비협력 운동 등의 비폭력 저항을 전개하였다. 인도 서부 포르반다르에서 부잣집 막내아들로 태어난 간디 간디의 집안은 상인계급에 속했고 식료품상이었다. 조용하고 수줍음 많은 소년 간디는 고등 학교를 졸업한 뒤 영국으로 건너가 법률을 공부해 변호사가 되었다. 간디는 46세에 고국으로 돌아와 인도 독립을 위해 본격적으로 투쟁에 들어간다. 감옥을 드나들면서 간디가 벌인 투쟁은 무저항 운동이었다. 그리고 단식 투쟁을 하면서 영국에 저항하고 인도 국민을 하나로 묶었다. 1919년, 영국은 인도를 억압하기 위해 영국에 항거하는 사람은 재판 없이 처형할 수 있다는 법을 만들었다. ..

2022. 12. 5. 23:27
  • «
  • 1
  • ···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
  • 23
  • »
반응형
애드센스 광고 영역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aaa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