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 2023. 2. 4. 09:28

병참기지화정책

반응형



일제가 1931년 만주사변을 전후한 시기부터

 1945년 광복될 때까지 한반도를 

일본의 대륙 침략 및 태평양전쟁을 위한 

전쟁 및 군수물자의 공급기지로 

이용한 식민지 정책.

일제는 1931년 9월 18일 

대륙 침략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할 목적으로

 만주사변을 일으켜 이듬해 초

 만주 전역을 점령하였다. 

 

이 때를 전후해 일제는 한반도를

 일제의 침략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병참기지로 만들기 위해 한반도의 북쪽에

 전쟁물자를 공급할 수 있는 군수공장을

 건설하고, 전시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산미증식계획, 농산물 강제 수매와

 강제 공출 등을 통해

 농촌 노동력을 착취하였다.

병참기지화정책은 일제가 만주사변을

 일으키면서 침략전쟁 수행을 위한

 병참기지로 활용하기 위해 

한반도에서 취한 정책으로

, 8·15광복 때까지 계속되었다. 


여기에는 전쟁 수행을 위한

군수물자뿐 아니라, 인력의 강제 동원,

대륙 침략을 위한 식량 증산정책,

황국신민화 등 한반도에서 취한

각종 정책이 포함된다.

일제는 만주사변 이후 

한국 농촌 부흥을 명분으로 내걸고

 농촌진흥운동과 자력갱생운동을

 전개하면서 통치 체제를 전체주의적 

동원체제로 재편성하였다. 


이어 일선융합(일본과 조선은 융합한다.), 

내선일체(일본인과 조선인은 한몸이다.) 

등을 내세워 한국의 인력을 

식량증산과 대륙 침략전쟁에

 총동원하였다.

반응형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봉길(1908년 ~ 1932년)  (0) 2023.02.06
3·1독립선언서  (0) 2023.02.05
토지조사사업  (0) 2023.02.03
산미 증식 계획 (1920년에서 1934년)  (0) 2023.02.02
전봉준(1855년 1월 10일~1895년 4월 24일 (향년 40세))  (0) 2023.02.01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