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1년(고종 8) 미국이 1866년의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빌미로 조선을
개항시키고자 강화도를 공격한 사건.
19세기 서구 열강의 아시아 진출이
가속화되고, 1842년 아편전쟁의
결과로 청이 영국과 난징조약을
체결하여 개국하자,
1844년 미국도 청과 왕샤조약을
체결하여 동아시아 진출에 나섰다.
1854년 미국은 일본과 미일화친조약을
체결하여 일본을 개국시켰다.
그러나 1861년 남북전쟁의 발발로
미국은 한동안 동아시아에 관심을
둘 수 없었고, 전쟁이 끝난 1865년부터
다시 아시아에 파견한 함대의 전열을
재정비하며 아시아 팽창주의를 이어나갔다.
그러던 1866년 조선에서 제너럴 셔먼호가
격침되었다는 소식이 주청미국공사관에
전해졌고, 조선에 강경하게
대응할 것을 계획하였다.
먼저 주청미국공사 버링게임은
청을 통한 조선 압박, 영국 및 프랑스와의
공동 출병이 무산되자
미국 아시아 함대 사령관 벨에게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진상을 조사하기
위한 함대의 파견을 요청하였다.
이에 와츄세트호가 청의 즈푸에서
출항하여 조선의 황해도 장연에
이르렀다.
1868년 4월 미국은 조선에 억류된
서양인이 미국인일 것으로 보고,
재차 아시아 함대의 셰넌도어호를
조선에 파견하였다.
셰넌도어호는 황해도 풍천에 이르러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진상과
억류된 미국인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조선은 청의 예부에
제너럴 셔먼호 사건에 대해
보고한 문서를 토대로 미국에 답변하였고,
제너럴 셔먼호가 평양의 관민을 구금하고
공격한 것이 격침의 원인이며,
조선에 미국인 2명이 구금되었다는 것은
청나라 향도의 거짓말이었음이
확인되었다.
미국은 1871년 5월 조선으로
보낼 함대를 일본의 나가사키에 집결시켰다.
이때 집결된 미국의 함대는
존 로저스를 사령관으로 하여
군함 5척과 군인 1,230명으로 구성되었고,
5월 16일에 조선을 개국시키기
위하여 출항하였다.
미군은 5월 16일에 충청도,
19일 남양만에 이르러 뱃길을 탐사하면서
북상하여 23일에 아산만의 입파도에
도착하였다. 미군은 강화도까지 가는
수로를 탐색하기 위한 정찰대를 파견하였고,
30일에는 인천의 작약도에 정박하였다.
그리고 30~31일에 조선과 미군의 교섭이
이루어졌으나, 미군은 조선에서 온 관원이
전권대사가 아니고 품계가 낮음을
이유로 교섭을 계속 진행하지 않았다.
6월 1일 미군은 다시 강화해협과
한강의 수로 탐색을 위한 정찰대를
파견하였다.
미군의 정찰대가 광성보가 위치한
손돌목 어귀에 이르자 광성보를 중심으로
한 조선군이 미군을 공격하였다.
조선군과 미군은 포격전을 벌였으나,
미군의 무기를 따라갈 수 없었고,
광성보가 곧 초토화되었다.
6월 10일 미군은 650여 명을 동원하여
강화도의 초지진을 공격하였다.
조선군은 미군에 발포하여 상륙을 저지하고자
하였으나, 미군 군함의 포격으로 실현하지
못하였다. 초지진이 초토화되자
미군의 상륙이 시작되었고, 조선군은
초지진을 버리고 후퇴하였다.
6월 11일 미군은 초지진에서
덕진진으로 이동하여 공격을 개시하였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군함의 포격이 덕진진을 초토화시켰고,
미군은 피해 없이 덕진진을 점령하였다.
곧 미군은 이동을 재개하여 광성보로 향하였고,
바다와 육지 양면에서 광성보를
공격하였다. 당시 광성보에는 진무중군
어재연이 이끄는 조선군이 주둔하였는데,
1시간에 걸친 미군의 포격으로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그리고 조선군과
미군 사이에 백병전이 벌어졌고,
어재연을 비롯한 조선군 350여 명은
광성보에서 전멸하였다.
반면 미군은 사망 3명,
부상 10여 명이라는 경미한
피해만 입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흥선대원군은
한양의 종로와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워
통상수교거부정책을 더욱 강화하였다.
군사 방면에서도 삼군부가 정비되어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또한 병인양요, 남연군분묘도굴사건,
신미양요 때 천주교 신자의 협력이
드러나면서 천주교에 대한 강도
높은 탄압이 이루어졌다.
한편 광성보에서 전사한
어재연의 수자기(장군의 깃발)는
미군이 전리품으로 가지고 돌아가
미국해군사관학교에 보관되었는데,
2007년 임대 방식으로 한국에
반환되어 강화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요호 사건(1875년 9월) (0) | 2023.01.17 |
---|---|
제너럴 셔먼 호 사건 (0) | 2023.01.16 |
진주 민란(임술년)(1862년) (0) | 2023.01.14 |
홍경래의 난(1811년) (0) | 2023.01.13 |
삼정의 문란 (1) | 2023.01.12 |